갱년기
갱년기란?갱년기란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중지된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느껴지는 증상이나 신체적 변화 혹은 생리가 멈춘 후 1년 이상이 경과한 경우에 갱년기라 의심할 수 있습니다. 폐경이란 여성으로써의 일생이 끝나는 신호가 아니라 임신과 생리에 따른 여러 문제에서 해방된 것으로 자신을 더욱 아끼며 살아야 한다는 몸의 한 메시지로 이해하는 것이 올바른 견해 입니다.
갱년기 증상과 문제점

갱년기 치료신체 내에서 감소한 여성호르몬을 외부에서 약으로 보충 해주는 치료이며, 이것을 갱년기 호르몬대체요법이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호르몬 약의 종류와 효과가 더욱 좋아졌으며 기대의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 여부의 전문의와 상담 후 검사를 통해 약을 처방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호르몬 대체요법 치료의 장점
호르몬 대체요법의 부작용부작용으로는 10%정도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부작용은 수개월간 사용하면 점차적으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작용이 나타날 시 병원에 방문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질출혈의 경우 약제와 투여방법에 따라 정상적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갱년기 건강검진| 문진과 신체검진 | 5년에 한번(40세)부터 | |
| 초음파, 골반, 자궁암, 성병검사 | 6개월 ~ 1년에 한번 | |
| 갑상선 기능검사 | 40대부터 매 년 실시, 60대 부터는 2년에 한번 씩 | |
| 대변의 장혈검사 | 50대부터 매년 실시 | |
| 유방검사 | 20 ~ 30세 | 매월 자가진단, 촉진 2~3년마다 |
| 30 ~ 50세 | 35세때 유방촬영, 40세부터 1~2년마다 유방촬영 | |
| 50세이상 | 매월 자가진단, 1년마다 촉진검사, 1년마다 유방촬영 | |
| 검사내용 | 실시방법 | |
|---|---|---|
골다공증
골다공증이란?뼈가 약해지면서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뼈의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게 되는 질환이며 사람의 뼈의 밀도는 30대 정점을 기준으로 나이가 들수록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 약하게 됩니다. 여성의 경우 갱년기에 이르러 갑자기 악화되며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골절이 유발될 수 있고 뼈가 잘 붙지 않아 여러 문제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